Clovax LLM(클로바엑스) 사용 후기

네이버의 클로바엑스 – 한국의 LLM

AI 지우개 사용

이미지를 첨부하자 편집할 영역을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7번 정도 클릭해서 이미지 좌측의 전봇대와 전선들을 선택했다. 선택하면 사라져야 할 안내말풍선이 사라지지 않아서 일부분은 선택할 수 없었다. 이 부분을 개발자들은 테스트하지 않았나 보다. 선택과 함께 지우기 버튼 클릭.

 

편집을 다시 시도하자 안내 문구가 사라졌다.

 

이미지 편집 중 열심히 답변 중입니다. 하는 메시지가 보인다.

 

세 개의 샘플 이미지가 생성되었다.

 

이미지를 선택하자 깔끔하게 편집된 이미지와 우측 다운로드 버튼이 보인다. 아래 안내 문구에 가려 다 편집되지 못한 전봇대의 잔해도 보인다. 생성된 3개의 이미지는 편집 영역과 내용이 적다 보니 거의 동일한 이미지가 생성되었다.

 

이미지 편집 결과

1456×816, 1.75MB 사이즈의 이미지를 제공했는데 편집 후 1024×573, 0.89MB의 이미지가 생성되었다.

생성 전후의 이미지를 비교하면 해상도가 많이 떨어진 것이 확인된다. 아쉽게도 취미로 이런 것도 되네 하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1024 이하의 해상도 편집용으로는 사용이 가능할 것 같다.

추가 기능들은 좀 사용해 보고 후기를 작성하겠습니다. 서비스를 간단히 사용하고 느낀 점은 네이버가 LLM서비스 공개에 진심은 아니구나 하는 느낌이었습니다. 참고로 미드저니의 업스케일 이미지(이미지편집)의 사이즈는 2912×1632, 6.77MB 이다.

ChatGPT , Midjourney, ImageFX 지브리프사 비교

ChatGPT Ghibli 프사

 

ChatGPT 링크다. https://chatgpt.com/

우선 챗지피티에게 지브리 스타일의 프사가 가능하냐고 물었다.

 

Midjourney

미드저니에서 같은 프롬프트로 생성한 이미지.

개인적으로는 미드저니의 스타일이 가장 마음에 든다. 같은 지브리 스타일이지만 파란 하늘과 역동적인 카메라 뷰와 주인공의 자세.

구글의 ImageFX

구글의 ImageFX는 프로프트를 잘 반영하는 특성이 있다. 프롬프트 내용대로 강변을 걷고 있는 소녀의 모습을 생성했다. 같은 지브리 스타일이다.

 

지브리 프사의 인기

지브리 프사의 폭발적 관심의 이유가 뭘까 궁금해진다.

1. OpenAI의 챗GPT-4o 모델이 새로운 이미지 생성 기능을 도입. 이미지 생성 정책이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기존 무료사용자의 경우 이미지 하나를 생성하고 나면 ChatGPT 사용이 제한되었지만 그 제한이 없어졌다. 

2.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미지의 무료사용 신호탄이 터졌다고나 할까. ImageFX로도 상당히 많은 이미지를 무료로 생성할 수 있었지만 사실 잘 알려지지 않은 서비스였다. 이미 사용자가 많은 OpenAI ChatGPT의 경우 무료사용자가 기존에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었지만 이번 모델의 업그레이드와 무료정책으로 인해 관심이 폭발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미드저니의 경우 초기 이미지 생성형 모델이지만 유료이기 때문에 이미지 생성에 크게 관심이 있지 않은 일반인의 경우 사용이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3. 대화형 이미지 생성. 미드저니의 경우는 프롬프트를 LLM에서 생성해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방법이어서 ChatGPT처럼 대화형으로 이미지생성을 요구할 수는 없었다. 달리 생각해 보면 미드저니의 이미지 생성방법도 결국 LLM과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lingAI도 DeepSeek 도입으로 프롬프트 생성이 간편해졌고, 한글 프롬프트도 가능해졌다. 미드저니도 지금 같은 고민을 하고 있을 것 같다.

 

KlingAI – DeepSeek, 한글 프롬프트 사용가능

KlingAI 서비스 개편

인터페이스의 단순화

AI Sound 가능

에셋 관리

KlingAI 1.6익스텐션 기능 추가로 짧은 영상에서 좀 더 긴 영상 생성 가능해짐. 3M.

꽃 피는 효과 추가

딥씨크 덕분에 클링에서 한글 프롬프트 사용이 가능해짐

 

KlingAI(클링AI) + DeepSeek(딥씨크)

클링AI 인터페이스 중 가장 크게 눈에 띄는 부분은 딥씨크 LLM이 생성이미지와 영상의 보조도구로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영상이나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ChatGPT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걸 인터페이스에 적용한 것이다. 생성형 AI서비스는 대형LLM회사가 결국에는 이미지, 영상, 음원 등을 총체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에 협업이 쉽지 않다고 생각한다.

지금은 개별 AI 모델들이 특정 기능에 특화되어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멀티모달 AI(텍스트, 이미지, 영상, 음원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생성하는 AI)가 발전하면서 경계가 모호해지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딥시크로 프롬프트 만들기

클링AI에 딥시크가 있어서 사용하기에는 정말 편하다. 물론 하나의 윈도우 창을 더 열고 LLM에게 프롬프트를 요청해도 결과는 다른지 않겠지만 편리하다. 요청에 의해 만들어진 프롬프트를 사용 버튼만 누르면 직접 적용할 수 있다. 준비된 이미지에 딥시크에게 영상의 프롬프트를 요청해서 바로 적용할 수 있다. 딥시크의 사용은 별도의 크레딧이 필요없이 무료다.

KlingAI 고품질 영상 만드는 과정

1. 고품질의 이미지 생성이 가장 중요하다. 원본의 완성도가 영상 품질의 8할이다.

2. 이미지에 영상 프롬프트 적용.

3. 프롬프트를 수정해가면서 원하는 영상 생성.

 

리뉴얼된 클링AI로 지난번 실패한 영상을 딥씨크와 함께 재도전

클링리뉴얼의 설명대로 지난번 만들다 실패한 에셋을 활용해서 추가 이미지를 첨부하지 않고 실행

두장의 이미지에셋으로 딥씨크에게 영상의 프롬프트를 요청

잠깐 한글이 되는 건가? 딥씨크에게 한글로 물었는데 답변도 한글이고 만들어준 프롬프트는 한글이네, 프롬프트 사용버튼을 눌렀는데 프롬프트도 한글. 딥씨크는 한글을 완벽히 이해하고 있다.

KlingAI의 재발견

딥씨크 프롬프트 사용 가능

한글 사용가능

리뉴얼 전후의 영상비교

영상의 품질은 리뉴얼 되기 전과 거의 동일, 고양이의 걸음이 어색한 부분은 살짝 개선되었지만, 나비는 없고 프롬프트는 반영이 제대로 안됨. 이미지가 픽셀아트 스타일이어서 품질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는 문제다. 다른 이미지를 통해 영상을 더 테스트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아래 영상을 클릭하시면 감상하실 수 있어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