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VIDIA의 AI 혁신: GTC 2025와 글로벌 확장 – 계속되는 컴퓨팅 능력의 혁신

[NVDIA는 어떤 회사인가]

NVIDIA는 GTC 2025에서 AI 기술의 새로운 진전을 보여주는 AI 칩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 로드맵에는 Blackwell UltraVera Rubin 칩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AI의 진화를 이끄는 중요한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NVIDIA의 CEO인 젠슨 황은 이번 발표에서 AI 기술의 발전으로 컴퓨팅 수요100배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NVIDIAAI 기술의 발전에 맞추어, xAIGM 등과 협력하여 AI 인프라와 응용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NVIDIAGPU 기술이 앞으로의 AI 시대에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해 다뤄졌다.

https://www.nvidia.com/ 2025년에도 어김없이 NVIDIA GTC를 개최하고 칩로드맵을 발표한 엔비디아의 홈페이지 링크다. 이제는 전 세계가 인정하는 최강의 기업이 된 NVIDIA. 하지만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우리는 그저 암호 화폐 덕에 돈 많이 번 그래픽카드(GPU) 회사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젠슨 황은 처음부터 ‘컴퓨팅 능력의 혁신’이라는 명제를 붙잡고 있었다. 젠슨 황은 엔지니어 출신 CEO다. 2시간 넘는 프레젠테이션의 모든 숫자와 스펙 그리고 방향성이 머리 속에 들어있다. 그와 그의 회사가 우리 시대에 있기에 지금 AI는 작동하고 있다고 믿는다.

NVIDIA GTC 2025에서 젠슨 황은 동영상의 블루를 무대로 불러, 블루에게 "물리 엔진이 마음에 드냐, 너는 매우 스마트한 로봇이야”라고 칭찬을 했다. 그러자 블루는 사람이 기뻐 엉덩이를 흔드는 모습을 재현하며 환호성으로 들리는 로봇 음성을 냈다. 그리고 젠슨 황이 “곧 점심 먹을 시간이니 집에 가자”고 말하자 블루는 갑자기 시무룩한 움직임을 보였다. 젠슨 황이 “옆으로 움직여 서라”고 말하자 블루는 실제로 그렇게 했다.
NVIDIA, GTC 2025에서 신형 AI 칩 로드맵 발표, 젠슨 황이 블루와 이야기하고 있다. 출처: NVIDIA 홈페이지

 

[GTC에서 나온 NVIDIA관련 내용 요약]
  • AI가 에이전트 AI라는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다.

NVIDIA는 연례 GPU 기술 컨퍼런스(GTC)에서 2028년까지 이어질 AI 칩 로드맵을 공개했습니다. CEO 젠슨 황(Jensen Huang)은 새로운 “Blackwell Ultra”와 “Vera Rubin” 칩을 소개하며, AI가 “에이전트 AI(agentic AI)”라는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발전으로 인해 컴퓨팅 수요가 100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 NVIDIA가 지속적으로 혁신을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Reuters, 2025-03-18)

  • NVIDIA, xAI 및 주요 기업들과 AI 인프라 확장 협력

NVIDIA는 일론 머스크의 xAI, 마이크로소프트, 블랙록 등과 협력하여 300억 달러 규모의 AI 펀드를 통해 미국 내 AI 인프라를 확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데이터 센터와 에너지 프로젝트를 포함하며, AI 붐을 뒷받침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의 일환입니다. ( Financial Times, 2025-03-19)

  • 주가 변동과 시장 반응

NVIDIA는 GTC에서 새로운 AI 칩을 발표했으나, 투자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며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2025년 들어 주가가 13% 하락한 가운데, 시장은 이번 행사가 AI 주식 랠리를 다시 촉발할 긍정적 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했지만, 다소 실망스러운 반응을 보였습니다. ( Yahoo Finance, 2025-03-19)

  • GM과의 협력으로 AI 기반 차량 및 공장 혁신

NVIDIA는 제너럴 모터스(GM)와 협력하여 차세대 차량, 자율주행 시스템, 공장 자동화를 위한 AI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를 위해 NVIDIA의 “Omniverse” 플랫폼과 맞춤형 AI 시스템이 활용될 예정입니다.(CNBC, 2025-03-18)

  • 미국 내 칩 생산에 수천억 달러 투자 계획(NVIDIA GPU)

젠슨 황은 향후 4년간 미국산 칩 및 전자 제품 생산에 수천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AI 기술의 지속적인 성장과 미국 내 제조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합니다. (Financial Times, 2025-03-20)

 

[Grok3의 추론기능을 통한 데이타 센터용 NVIDIA GPU 컴퓨팅 능력에 대한 질문과 답변]
Grok3를 이용해 시장 조사된 기존 출하량 컴퓨팅 수요 100배 증가로 가정해 본 데이타센터용 GPU수요이다. 숫자가 부정확하고 얼마든지 오류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경기상황과 급변하는 AI시장이라는 큰 변수가 있으므로 단순 참고용으로 보자.
컴퓨팅 수요가 100증가할 때, GPU 수요는 AI기술 발전에 따른 효율성 개선에 힘입어 10배 늘어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데이터 센터용 NVIDIA GPU 수요는 2024년 300만개(H100) 에서 2025년 이후 300만~600만개(블랙웰) 추정. 블랙웰의 가격은 1~1.85배. 시장은 1~3배 수요를 예측. 매출은 1~5배사이.
NVIDIA CEO 젠슨 황이 언급한 “AI에 필요한 연산량이 100배 더 늘어났다”는 발언을 기반으로 GPU 수요 증가를 추정해보았다. 단순히 컴퓨팅 수요가 100배 증가한다고 해서 GPU 수요가 반드시 동일한 비율로 증가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GPU 수요는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개략적으로 살펴 보자.
주제: NVIDIA의 AI 혁신과 GPU 수요 증가
전제 (최신 뉴스 기반)
  1. NVIDIA는 GTC 2025에서 새로운 AI 칩 로드맵(Blackwell Ultra, Vera Rubin)을 발표하며, AI가 “에이전트 AI” 단계로 진화했다고 밝혔다. (Reuters, 2025-03-18)
  2. CEO 젠슨 황은 AI로 인해 컴퓨팅 수요가 100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Reuters, 2025-03-18)
  3. NVIDIA는 xAI, GM 등과 협력하며 AI 인프라와 응용 분야를 확장 중이다. (Financial Times, CNBC, 2025-03-19)
  4. 최신 GPU(Blackwell, Blackwell Ultra 와 Vera Rubin)는 효율성이 과거 대비 수천 배 개선되었다. (Network World, 2024-10)
추론: GPU 수요는 얼마나 증가할까?
  • 전제 1: 컴퓨팅 수요가 100배 증가하면, GPU와 같은 하드웨어 수요도 증가한다. AI 작업은 GPU에 크게 의존하므로, 이론적으로 GPU 수요도 비슷한 비율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 전제 2: 그러나 AI기술 발전으로 효율성 개선(예: Blackwell GPU의 10~100배 효율 증가)을 고려하면, 동일한 연산량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GPU 수는 줄어든다.
  • 조건 분석:
    • 효율성 개선 없음 → GPU 수요 100배 증가 (예: 10,000개 → 1,000,000개).
    • 효율성 10배 개선 → GPU 수요 10배 증가 (예: 10,000개 → 100,000개).
    • 효율성 100배 개선 → GPU 수요 1배 증가 (예: 10,000개 → 10,000~20,000개).
  • 결론: 현실적으로 NVIDIA의 기술 발전을 반영하면, GPU 수요는 최소 1배에서 최대 10배 수준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100배에 달하려면 효율성 개선이 전혀 없어야 하지만, 이는 현재 상황과 맞지 않다.
[종합]

NVIDIA는 AI 칩혁신과 글로벌 협력을 통해 컴퓨팅 수요 폭증(100배)을 대비하고 있다. GPU 수요는 효율성 개선 덕분에 연산량 증가폭(100배)보다 훨씬 적게 늘어난다. 약 1~10배 증가 추정이 가능하다. 이는 NVIDIA의 시장 지배력 강화와 기술 최적화가 동시에 진행됨을 보여준다. 이상으로 NVIDIA GTC를 통한 젠슨 황 CEO의 AI 100배 수요에 대한 데이터센터용 GPU 수량을 간략하게 예상해 보았다.

  • 2024년에 약 2억~2억 4천만 개의 GPU가 사용됐다고 추정했다. 이 중 AI 데이터센터용(H100 등)은 약 300만 개 수준입니다.
  • AI 수요가 100배 늘면 데이터센터 GPU는 3,000만개 정도로 억제될 가능성이 큽니다. Blackwell Ultra와 Vera Rubin이라면 300만 ~600만개 수준으로 예상. 시장이 폭발적이라면 1,000만개.

 

다음 글 : AI관련 최신기사 AI가 당신의 다음 행동을 예측한다. 상상이 현실이 되다.

AI가 당신의 다음 행동을 예측한다. 상상이 현실이 되다.

2002년 마이너리티 리포트 영화 포스터 출처: 나무위키

1. AI가 인간의 행동을 예측하는 영화적 상상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인간(범죄자)의 행동을 미리 예측해 처벌하는 내용을 보고 흥미있지만 말도 안되는 일이라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그 영화로 부터 23년이 지난 2025년 지금의 AI발전 속도는 그런 생각을 무색케한다. 원작자는 Philip K. Dick입니다. 그는 미국의 저명한 SF 작가로, 1956년 단편 소설 “The Minority Report”의 작가이며 이 분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2. 최근 중국의 레드아이 AI가 공중전에서 인간 조종사를 압도하는 이야기

AI기술과 관련한 최근의 기사다. 제목도 자극적이다. 중국의 ‘레드아이 AI’, 공중전에서 인간 조종사의 마지막 희망을 없애다.

요약하면 공중전에서 AI는 인간 조종사의 예측 불가능성이 더 이상 우위가 되지 않는 다는 점이다. 마치 바둑에서 더 이상 인간의 수가 통하지 않는 느낌과 동일한 것 같다.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국을 보면서 떨리던 이세돌의 손을 잊을 수가 없다. 그런데 어쩌면 지금 현재 그의 떨림이 촉각을 곤두 세우면 이제 누구에게나 온몸으로 전해지는 그런 시대가 되었다.

이세돌 알파고 2국 이세돌은 이날 돌을 던졌다. 대국기간 – 2016.03.09~15일. 불계패. 출처: 구글 딥마인드

3. 그록3 AI를 통해 요약해 본 레드아이 AI 연구에 대한 기사들

그록3 AI를 통해 요약한 중국의 레드아이 AI 연구에 대한 내용이다.

기사의 마지막에 보면 민간 분야에서도 예측 모델링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내용이 있다. (예: 자율주행, 로봇공학 등).

사용자가 언급한 내용은 *South China Morning Post (SCMP)*의 2025년 3월 11일 기사 “China’s red-eye AI just killed human pilots’ last hope to win in air combat: researchers”를 기반으로 한 것입니다. 아래에 원문의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더 자세히 요약하고 확장된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기사 요약 및 내용 확장

  • 제목: 중국의 ‘레드아이 AI’, 공중전에서 인간 조종사의 마지막 희망을 없애다: 연구자들

  • 주요 내용:

  • 연구에 따르면, 중국의 노스웨스트 기계전기공학연구소(Northwest Institute of Mechanical & Electrical Engineering) 과학자들이 개발한 새로운 AI 시스템이 인간 조종사의 예측 불가능한 기동(manoeuvres)을 예측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다. 이 시스템은 적외선 이미징(infrared imaging)과 AI 기반 예측 모델링(predictive modeling)을 결합해 상대 항공기의 미세한 날개와 꼬리 움직임을 분석한다.

  • 기존 AI 공중전 시스템은 궤적 기반 예측(trajectory-based prediction)에 의존했기 때문에, 인간 조종사가 갑작스럽고 비선형적인 기동을 할 때 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항공기의 물리적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춰 이러한 한계를 극복했다.

  • 연구를 이끈 선임 엔지니어 린 즈웨이(Lin Zhiwei)는 이 기술이 미국의 F-15 같은 민첩한 전투기를 무력화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 발표: 이 연구는 2024년 12월 Journal of Gun Launch & Control에 게재되었으며, 2025년 3월 11일 SCMP를 통해 대중적으로 보도되었다.

  • 영향:

  • 군사 분야에서 이 기술은 공중전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다. 간 조종사의 예측 불가능성이 더 이상 AI에 대한 우위로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 과학적으로는 AI의 실시간 데이터 분석 및 적응 능력이 한 단계 진화했음을 보여준다.

추가적인 맥락

  • 이 기술은 중국의 ‘Made in China 2025’ 계획과 연계될 가능성이 있으며, AI를 통해 군사 및 산업 경쟁력을 높이려는 중국의 전략을 반영한다.

  • SCMP 기사에 따르면, 이 AI는 단순히 군사적 용도에 국한되지 않고, 민간 분야에서도 예측 모델링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예: 자율주행, 로봇공학 등).

AI기술 발전으로 AI가 인간의 다음 행동을 예측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는 한편, 왠지 무섭다는 생각도 드네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