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 Midjourney, ImageFX 지브리프사 비교

ChatGPT Ghibli 프사

 

ChatGPT 링크다. https://chatgpt.com/

우선 챗지피티에게 지브리 스타일의 프사가 가능하냐고 물었다.

 

Midjourney

미드저니에서 같은 프롬프트로 생성한 이미지.

개인적으로는 미드저니의 스타일이 가장 마음에 든다. 같은 지브리 스타일이지만 파란 하늘과 역동적인 카메라 뷰와 주인공의 자세.

구글의 ImageFX

구글의 ImageFX는 프로프트를 잘 반영하는 특성이 있다. 프롬프트 내용대로 강변을 걷고 있는 소녀의 모습을 생성했다. 같은 지브리 스타일이다.

 

지브리 프사의 인기

지브리 프사의 폭발적 관심의 이유가 뭘까 궁금해진다.

1. OpenAI의 챗GPT-4o 모델이 새로운 이미지 생성 기능을 도입. 이미지 생성 정책이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기존 무료사용자의 경우 이미지 하나를 생성하고 나면 ChatGPT 사용이 제한되었지만 그 제한이 없어졌다. 

2.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미지의 무료사용 신호탄이 터졌다고나 할까. ImageFX로도 상당히 많은 이미지를 무료로 생성할 수 있었지만 사실 잘 알려지지 않은 서비스였다. 이미 사용자가 많은 OpenAI ChatGPT의 경우 무료사용자가 기존에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었지만 이번 모델의 업그레이드와 무료정책으로 인해 관심이 폭발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미드저니의 경우 초기 이미지 생성형 모델이지만 유료이기 때문에 이미지 생성에 크게 관심이 있지 않은 일반인의 경우 사용이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3. 대화형 이미지 생성. 미드저니의 경우는 프롬프트를 LLM에서 생성해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용방법이어서 ChatGPT처럼 대화형으로 이미지생성을 요구할 수는 없었다. 달리 생각해 보면 미드저니의 이미지 생성방법도 결국 LLM과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lingAI도 DeepSeek 도입으로 프롬프트 생성이 간편해졌고, 한글 프롬프트도 가능해졌다. 미드저니도 지금 같은 고민을 하고 있을 것 같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